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MG손해보험이 사실상 폐업 수순에 접어들면서, 120만 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실손 및 자동차 보험을 보유한 개인 가입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가교 보험사 방식을 통한 계약 보호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임직원 고용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1. MG손해보험, 지급 여력 고갈로 사실상 청산 수순

    MG손보는 현재 지급여력비율(RBC)이 4.1%에 불과해 사실상 청산이 불가피한 상태입니다.

    이는 보험사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일반적으로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120만 명이 넘는 가입자들이 있지만, 예금자 보호는 해약환급금 기준 5천만 원까지만 보장되어 피해 우려가 큽니다.

     

     

    2. 부실 금융기관 지정 이후 매각 실패…청산 결정

    MG손보는 2022년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이후 매각 시도가 계속되었으나, 2024년 3월 최종 무산되면서 청산 절차가 본격화되었습니다.

    예금자 보호 한도 이상을 초과하는 환급금에 대해서는 보장이 어렵기 때문에 일부 가입자들의 불안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3. 가교 보험사 통해 계약 관리…새 보험사 설립도 검토

    금융당국은 계약자 보호를 위해 ‘가교 보험사’ 방식을 택했습니다.

    예금보험공사가 MG손보의 계약을 전부 인수한 뒤, 이를 안정적인 보험사에 넘기기 전까지 임시로 유지·관리하게 됩니다.

    동시에 새로운 보험사를 설립해 기존 계약을 이어갈 수 있는 방안도 적극 검토 중입니다.

     

     

    4. 가입자 보호 외에도 임직원 고용 문제 ‘심각’

    계약자 보호 조치는 시행 중이지만, MG손보 임직원 약 600여 명의 고용 문제는 아직 미해결 상태입니다.

    가교 보험사 방식에서는 계약 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만 승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노조 측은 고용 승계와 노동자 권리 보호를 촉구하며 반대 집회를 예고했습니다.

     

     

    🔍 MG손보 사태가 남긴 교훈

    이번 MG손해보험 사태는 부실 금융기관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함께, 금융 소비자 보호 시스템의 정비가 절실하다는 점을 다시금 일깨워줍니다.

    보험 가입 시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지급 여력을 반드시 확인하는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