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기상청의 공식 발표 전까지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여러 예보 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제주도는 6월 19일부터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중부지방은 6월 25일부터 본격적인 장마철에 들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비 오는 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예년 대비 강수량은 다소 많을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 2025년 장마 예상기간 정리
기상 예측 및 과거 통계에 기반하여, 2025년 장마는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예상됩니다.
지역 | 시작일 | 종료일 | 예상 기간 |
제주도 | 6월 19일 | 7월 20일 | 약 32일 |
남부지방 (전라·경상) | 6월 23일 | 7월 24일 | 약 32일 |
중부지방 (서울, 수도권, 강원, 충청) | 6월 25일 | 7월 26일 | 약 32일 |
※ 이 일정은 과거 평균 장마 시작일과 최근 예측을 바탕으로 하며, 실제 기상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비 오는 날과 강수량
장마라고 해서 매일 비가 오는 건 아닙니다. 실제로 15~20일 정도만 비가 내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나머지 기간은 흐리거나 맑은 날씨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상 강수일수:
- 제주도: 약 17.5일
- 남부지방: 약 17일
- 중부지방: 약 17.7일
예상 강수량:
- 제주도: 405.3mm
- 중부지방: 374.2mm
→ 과거 평균보다 1.5배 많은 지역도 존재
이는 최근의 국지성 호우 증가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 기후적 배경 및 변수
2025년은 엘니뇨·라니냐 영향이 중립 상태로 예상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예상치 못한 강수량이나 집중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침수 피해나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준비가 중요합니다.
기압 영향: 북태평양 고기압 vs 시베리아 기단
변수: 국지성 집중호우, 중부지역의 강수 집중
✅ 2025년 장마, 이렇게 준비하세요!
- 장마 예상기간:
제주도: 6월 19일 ~ 7월 20일
남부지방: 6월 23일 ~ 7월 24일
중부지방: 6월 25일 ~ 7월 26일
- 비 오는 날: 약 15~20일
- 강수량: 예년보다 많은 편 (국지성 호우 가능성↑)
기상청은 5월 23일에 2025년 여름철 공식 기상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므로, 해당 발표를 통해 더욱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